[언어 오너] 영단어 어원 확실히 찾자, Online Etymology Dictionary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영어 자료를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바로 영어 단어의 어원을 찾아주는 사이트입니다. 이름은 Online Etymology Dictionary, 말그대로 온라인 어원 사전입니다. 이름에서 짐작하셨겠지만, 이 사이트는 영어로 되어 있는 사이트이므로, 검색을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언어 수준을 갖추셔야 한다는 점 알려드립니다. 그럼 사이트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이트 들어가는 법과 메인 화면
네이버, 구글 등 검색엔진에 Online Etymology Dictionary라고 치시면 찾으실 수 있습니다. 사이트명을 Etymoline이라고도 부르나 봅니다.
링크를 클릭하셔서 사이트에 들어가시면, 가장 눈에 띄는 것이 바로 이 검색창일겁니다. 이 검색창이 이 어원찾기 사이트의 가장 주된 기능입니다. 검색창 밑에 지금 사람들이 많이 검색하고 있는 단어들도 몇 가지 보이네요. 검색창에 그 어원을 찾고자 하는 영단어를 넣고 검색 버튼을 누르시면 어원이 나올 겁니다. 주의할 점은, 영단어 어원의 설명이 모두 영어로 지원된다는 것입니다. 그래도 어원 설명에 쓰이는 어휘들이 생각보다 다양하지 않고, 어려운 편도 아니라서 다행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검색창 밑에는 이렇게 어원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심심할 때 한번 읽어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2. 단어 검색하는 방법
그럼 이제 직접 단어를 검색해보겠습니다. 현재 가장 인기있는 검색어인 'etymology', 어원 또는 어원학이라는 뜻을 가진 영단어를 검색해봅시다.
검색 결과입니다. 우선 (n.)이라는 표시를 통해서 품사가 명사라는 것을 알려주네요. 14세기 후반에는 ethimolegia였으며, 고대 프랑스어, 라틴어, 그리고 그리스어 순서로 역사가 거슬러 올라간다고 합니다. 모양이 정말 비슷한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단어가 etymon과 logia라는 단어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단어라는 점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설로 쓰인 영어가 크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영어에 능통하지 않으셔도 대략적인 정보는 얻어가실 수 있습니다. 저 또한 항상 완벽한 해석이 되지는 않기에 핵심 정보만 골라내는 편입니다.
이렇게 단어 자체의 어원뿐만 아니라 단어의 쓰임새와 그 변천사 또한 꽤나 자세하게 알 수 있습니다. 고대에는 etymology가 단어의 역사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단어의 의미에만 집중한 학문이라고 한다면, 근대에는 단어의 역사 또한 고려하는 과학적 학문이 되었다고 하네요.
이번에도 역시 인기 검색 단어인 with를 검색해보았습니다. 이번에도 역시 (prep.)이란 표시를 통해서 품사가 전치사라는 것을 알려줍니다. 인도유럽조어(PIE)에서 유래했으며, 게르만조어 등을 거쳐 현재의 형태가 완성되었다고 전해지네요.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단어도 이렇게 어원을 알 수 있어서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Korea도 한번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운 대로, 고려 왕조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정확한 설명이 나와있습니다. 이를 비롯해 김치, 태권도 등의 단어들도 알파벳으로 kimchi, tae kwon do라고 검색하시면 짧게 나와있긴 하지만 그에 대한 설명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영어권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이면 이 사전에 등재되어있는 듯합니다.
오늘은 영어 단어의 어원을 쉽게 찾을 수 있는 온라인 사전, Online Etymology Dictionary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들도 영단어 어원을 찾으실 일이 있으면 이 사전 잘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정확하고 자세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으실 겁니다. 그럼 이번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